kimmgamjja
[네트워크] 통신망 장비 본문
통신망 장비
- 데이터 전송 및 통신을 지원하는 다양한 장비를 포함
1. 라우터 ( Router )
- 기능 :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패킷을 전송, IP 주소를 기반으로 패킷의 경로를 결정
* IP 주소 등 L3 에 있는 주소를 참조하여 목적지와 연결되는 포트로 패킷을 전송
* LAN을 연결시켜주는 장치로써 정보를 주고 받을 때 송신정보 (패킷) 에 담긴 수신처의 주소를 읽고, 가장 적절한 통신경로를 이용하여 다른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장치
* 서로 다른 프로토콜로 운영하는 통신망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경로를 설정하는 역할을 제공하는 핵심적인 통신 장비
* 내부 네트워크는 사용하는 컴퓨터의 기종이나 OS, 프로토콜 등은 알 수 있기때문에 네트워크의 최적화를 이룰 수 있지만,
내부 네트워크를 외부와 연결할 때는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나 컴퓨터의 기종을 알 수 없으므로, 이러한 알 수 없는 임의의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를 위한 네트워크 장비가 라우터다.
* 서브넷 마스크가 다른 IP 주소를 가진 장비간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L3 장비를 거쳐야함
- 용도 : 인터넷과 내부 네트워크 간의 연결, 데이터 전송 경로 최적화
2. 스위치 ( Switch )
- 기능 : 동일한 네트워크 내에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여 장치간의 통신을 관리
* 허브와 달리 정해진 목적지에만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프레임 충돌이 감소하여 네트워크 성능 및 보안성 향상
- 용도 : LAN ( Local Area Network)에서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
3. 허브 ( Hub )
- 기능 : 여러 장치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비로, 수신한 데이터를 모든 포트로 전송
*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을 허브로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에게 전부 전송하는 플러딩 발생
→ 결과적으로 충돌이 많이 발생하여 하나의 허브에는 많은 디바이스를 연결할 수 없고 동일한 이유로 보안성 또한 떨어짐
- 용도 : 간단한 네트워크 연결, 그러나 효율성이 낮아 현재는 스위치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음
* 허브는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에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. 하나의 디바이스가 프레임을 전송하면 모든 장비와 충돌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허브에 접속된 모든 장비들은 하나의 충돌 영역에 있다고 한다.
4. 모뎀 ( Modem )
- 기능 :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를 변환하여 인터넷 연결
*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(ISP) 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장치가 이해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그 반대로 장치에서 전송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것
* 통신회사에서 인터넷 케이블을 아파트 또는 다세대 주택에 연결해주고 집안의 벽면을 통해 가장 먼저 연결되는 것이 모뎀, 다시 모뎀에서 이더넷 케이블을 연결해서 데스크탑 같은 PC에 유선으로 연결하면 그대로 인터넷 사용 가능 ( 유선이 더 빠름 )
* 여기서 Wi-Fi 무선인터넷을 사용하려면 공유기(라우터)를 구입해서 별도로 설치 후, 모뎀과 공유기를 이더넷 케이블로 연결해주면 공유기(라우터)에서 와이파이 무선 신호를 보내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.
- 용도 :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(ISP)와의 연결
5. 방화벽 ( Firewall )
- 기능 : 네트워크 보안을 위해 들어오고 나가는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제어
- 용도 : 외부 위협으로 부터 네트워크 보호
6. 액세스 포인트 ( Access Point )
- 기능 :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장치 제공
- 용도 : Wi-Fi 네트워크 확장 및 연결
7.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( NIC )
- 기능 : 컴퓨터나 장치가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하드웨어
- 용도 :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
* 유선 랜카드 :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
* 무선 랜카드 :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 (Wi-Fi 등) 에 사용* 최근 유선 랜카드는 기본적으로 메인보드에 포함되어 있어 별도의 유선 랜카드를 구입하지않고, 마더포드에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수행할 수 있음
8. 리피터 ( Repeater )
- 기능 :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 거리를 늘리는 장비
- 용도 : 신호가 약해지는 구역에서 신호 강화
9. 브릿지 ( Bridge )
- 기능 : 두 개의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게 한다
* 두 개 이상의 근거리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할 때 사용하는 장치
* 한 쪽의 네트워크의 정보를 읽어 다른 쪽의 네트워크로 정보를 전송
→ A사와 B사 독자적인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있을 때 이 두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
*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포트를 2개 가지고 있어 LAN 과 LAN 의 연결 및 확장하는 기능을 한다
- 용도 : 서로 다른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연결하고 트래픽 관리
* 각 포트마다 MAC 주소를 테이블에 기록함으로써 한 세그먼트에서 송신된 프레임을 검사해 목적지 주소가 다른 세그먼트이면 통과시켜주고 만약 동일 세크먼트라면 다른 포트로는 프레임을 통과시켜주지 않음으로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줄이는 기능을 한다
10. 게이트 웨이 ( Gateway )
- 기능 :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제공
- 용도 : 데이터 포맷과 프로토콜 변환
* 만약 내 네트워크 (192.168.0.1) 대역에서 (192.168.10.2) 대역으로 통신을 한다면 네트워크 대역이 같기 때문에 통신이 가능하다.
하지만, 내 네트워크 (192.168.0.1) 대역 에서 다른 네트워크 (172.16.10.1) 대역으로 통신을 하려면 Gateway를 거쳐야만 통신이 가능합니다.
* 게이트웨이에 대한 비유
1. 게이트웨이는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두 사람 사이에 통역사나 번역기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.
2. 게이트웨이는 다른 화폐를 사용하는 두 국가 사이에 환전소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.
3. 자동차 도로로 비유를 하면 게이트웨이는 고속도로를 갈아탈 때 마다 지나는 톨게이트와 유사합니다.
4. 톨게이트를 지날 때마다 통행료가 부가되듯, 게이트웨이를 거칠 때마다 네트워크 부하도 증가하여 전송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.
https://coding-chobo.tistory.com/38
허브 / 스위치 / 라우터 / 공유기 차이 및 비교
허브 (L1 더미허브) 허브의 개념 허브는 전기적인 신호를 증폭시켜 LAN의 전송거리를 연장시키고, 여러 대의 디바이스를 연결해 네트워크를 만들어주는 장비입니다. 포트는 허브에 따라 다양하며
coding-chobo.tistory.com
https://jettstream.tistory.com/235
모뎀과 무선 공유기는 어떻게 다른가?
모뎀과 무선 공유기에 대해서 오늘날의 디지털 시대에서는 인터넷 연결성이 이전보다 더 중요해졌다. 모뎀과 무선 공유기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신뢰할 수 있고 효율적인 인터넷 연결을 구축
jettstream.tistory.com
Gateway(게이트웨이)란 ? Router(라우터)란? 각 개념과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자.
Gateway ( 게이트웨이 ) 란 ? “한 네트워크(segment)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기 위하여 거쳐야 하는 지점” 으로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이 다를 경우에 중재 역할을 해줍니다. <p data-ke-s
hstory0208.tistory.com
https://blog.naver.com/hj_kim97/222678063718
[컴퓨터 기초 지식]네트워크 동작 및 구성요소 / NIC, 허브, 스위치, 브릿지, 게이트웨이, 라우터, L
네트워크 동작 및 구성요소 - 네트워크 구성과 동작 · 네트워크란? · 네트워크에서의 정보전달 · 유선 전송...
blog.naver.com
'공부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] TraceRT (Traceroute) (0) | 2025.02.07 |
---|---|
[네트워크] 무선 AP, AP Client (0) | 2025.02.07 |
[네트워크] 캐시 (0) | 2025.02.07 |
[네트워크] SMS (0) | 2025.02.07 |
[네트워크] EMS (0) | 2025.02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