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kimmgamjja
[네트워크] TraceRT (Traceroute) 본문
728x90
TraceRT (Traceroute)
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진단 도구
- ping이 단순히 목적지 IP 주소의 통신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수준이라면, traceroute는 패킷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길목 하나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.
- traceroute는 ping과 마찬가지로 목적지에 ICMP(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) 패킷을 보내는 방식으로 작동한다. 패킷은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한 번에 이동하지 않는다. 복수의 경로를 거치게 된다. 이때 각 구간을 홉(hop)이라고 부른다.
패킷 Packet 이란?
인터넷 내에서 데이터를 보내기 위한 경로배정 (라우팅)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여러 개의 조각들로 나누어 전송을 하는데, 이때, 이 조각을 패킷이라고 한다.
- 지정된 호스트에 도달할 때까지 통과하는 경로의 정보와 각 경로에서의 지연 시간을 추적하는 네트워크 명령어로 특정 사이트에 접속이 되지 않거나 지연이 있는 경우 어디에서 병목이 발생하는지를 알아보는데 유용하다.
https://change-words.tistory.com/entry/tracert-traceroute
tracert, traceroute란? (사용 방법과 목적)
tracert 또는 traceroute는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진단 도구입니다. ping이 단순히 목적지 IP 주소의 통신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수준이라면, traceroute는 패킷이 출발
change-words.tistory.com
728x90
'공부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] NMS / SNMP / Syslog (0) | 2025.02.08 |
---|---|
[네트워크] TCP , UDP (0) | 2025.02.07 |
[네트워크] 무선 AP, AP Client (0) | 2025.02.07 |
[네트워크] 캐시 (0) | 2025.02.07 |
[네트워크] SMS (0) | 2025.02.07 |